There..

(산 그곳에..) 가라지의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 합니다..

산그곳에..

합천 대병4산 종주

T-가라지 2015. 4. 7. 09:32

 

 

합천 대병 4악 종주 : 용문정~황강 도강~협곡바위~돛대바위~의룡산 정상~+자바위 전망대~악견산 정상~금성천 도강~포장도로~대원사~금성산 정상. 봉수대 조망바위~회양갈림길~469봉~장단교~흔들바위~권총바위~513봉~664봉( 용바위. 가짜정상석)~허굴산 정상~청강사~청강사 주차장....택시이동...용문정

 

 

합천 대병4산 종주 gpx track : 2015-04-04 합천대병4산종주.gpx

...........................................................................................................................................................

 

 

 합천 가는길...삼가 양천강 벚꽃..

 

 들머리..용문정..

 

 황강..

 

 

 

 

 

 

 

 협곡바위..

 

 

 

 멀리...미녀산..숙성봉....오도산..

 

 돛대바위..

 

 가야할 길..오른쪽 앞 악견산..가운데 금성산..왼쪽 허굴산....악견산 금성산 사이..멀리 황매산..

 

 의룡산 정상부.

 

 

 의룡산 정상..

 

 

의룡산 (儀龍山 481m)

 

「소월출산」이라 불릴 정도로 천야만야한 절벽 바위와 기암괴석 등이 곳곳에 널려 있는데, 특히 황강을 막아 만들어 놓은 북쪽 기슭의 조정지와 어울려 한 폭의 산수화 같은 멋진 풍경을 연출한다. 하산길에 본 서릉은 설악산 공룡릉의 축소판 같다. 의룡산 북쪽 황강가에 있는 용문정 쪽에서 이 산을 남쪽으로 바라보면 매우 가파른 바위산이 강기슭에서부터 표고 400여m나 치솟아 있어 어디 한군데 마땅히 발붙일 곳이 없을 것처럼 보인다. 정상에서 서쪽 악견산, 황매산 줄기, 북쪽으로 용문정, 북동쪽으로는 황강에 만든 조정지댐과 그 댐 안에 담겨있는 짙푸른 호수물이 발아래 내려다보인다....펌글..

 

 

 

 + 자 바위 전망대..

 

 

나.....'기운 받아서 늦둥이 대꼬?...'

옆지기...'..택도 업심더...'....ㅠㅠ

 

 지나온 길...의룡산 능선..

 

 

 

 황강..조정지 조망..

 

 악견산 정상..

 

 악견산에서 보는 합천호 조망..

 

악견산 (岳堅山 634m)

 

합천읍에서 남서쪽으로 15㎞지점에 위치한 악견산은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꽃들로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인근의 금성산, 허굴산과 더불어 삼산이 합천호 맑은 물에 잠겨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하게 한다. 특히, 이 곳 정상은 임진왜란 때 왜적과 함께 장렬히 산화한 의병들의 민족혼이 살아 숨 쉬는 악견산성이 있으며, 왜적이 장기전을 기하자 금성산 바위에 구멍을 뚫어 악견산과 줄을 매어 붉은 못을 입힌 허수아비를 띄워 달밤에 줄을 당기니, 흡사 신상이 하늘에서 내려와 다니는 것 같아 이것을 본 왜적은 곽재우 장군이 왜적을 전멸시킬 것이라며, 겁에 질려 도망쳤다는 전설이 있다. 

[악견산성]

1999년 8월 6일 경상남도기념물 제218호로 지정되었다. 합천읍에서 남서쪽으로 15km 지점에 솟은 악견산(491m) 꼭대기의 바위를 연결하여 자연석으로 쌓은 성이다.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에는 1439년에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조사자들은 1592년(선조25) 무렵으로 추정한다.

임진왜란 때 성주목사(星州牧使)로 있던 곽재우(郭再祐)가 도체찰사(都體察使) 유성룡(柳成龍)의 명령을 받아 보수하고 이용하였다. 전하는 이야기로는, 왜군이 장기전을 펴자 곽재우가 인근 금성산(금성산) 바위에 구명을 뚫고 악견산까지 줄을 맨 뒤 붉은 옷을 입힌 허수아비를 달밤에 띄우게 하여 마치 신이 하늘에서 내려온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왜군을 물리쳤다고 한다...

..펌글

 


자꾸...콧노래가 맴맴 거린다...난 단지 봄볕에 취했을 뿐인데......

 

 

내림길...임란창의기념관...줌인~..

 

내림길..대원사..줌인~

 

합천댐..

 

 

 

대원사 입구..

 

 

대원사..

 

 

 

 

 

 

 

말등바위..

 

금성산 대포바위..

 

 

 

금성산 (金城山 592m)

 

매산의 동쪽에 위치한 산이며, 대병면의 중심지에 층암절벽으로 우뚝 솟은 산봉우리는 가는 이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산이다. 옛날에는 이곳에서 봉화에 불을 피워 연락을 하였다 하여 일명 「봉화산」이라고도 하며 아직도 그 봉화대의 흔적이 남아 있다.

금성산은 악견산의 서쪽이고 허굴산의 북쪽에 있는데 금성산 정상에 가면 옛날에 봉홧불을 피운 자리가 남아있다. 그리고 금성산 정상 한쪽 옆에는 기이하게 생긴 바위가 하나 있는데 그 중앙이 움푹 패어져 있어 그곳을 돌덩이로 때리면 북소리가 난다 하여 「북바위」라고 부른다. 또한 봉화산 정상에서 장단마을 쪽으로 내려가면 옛날 호랑이가 살았다는 호랑이 굴이 나오는데 아직까지 그 굴속에 들어가면 뾰쪽한 바위 끝에 호랑이 털이 묻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회양리 쪽으로 거대한 암반으로 형성되어 황매산을 굽어보며 호수를 벗 삼으니 상단에는 신선이 놀았다는 「제비덤」이 있으며, 또 그 주위에는 옛 절터와 성터가 있고 많은 금석문의 흔적이 남아 있고 등산로도 잘 되어 있다.

서쪽 벼랑에는 수 백 척이나 되는 암벽이 있고 중간에 넓은 반석으로 널따랗게 펼쳐져 있어 이름 가르켜 금반현화(錦盤懸花)란 이름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이는 바단 소반에 꽃을 단것 같다는 뜻으로서 그 유래와 전설이 듬뿍 담긴 곳이다...펌글

 

 

금성산 정상..

 

멀리..의룡산에서 악견산 지나..여기까지..

 

금성산에서 합천호 조망..

 

 

 

 

 

 

 

길도 없고..죽여주는(?)....469봉..내림길..

 

 

 

장단교..건너편 언덕배기가..허굴산 들머리..

 

지나온 걸음..멀리..악견산..금성산..469봉..

 

옆에서 보면 요상한 주먹바위..

 

 

 

권총바위...

 

아~!!....요기서 부터 요란한 봄비가 내립니다..

 

흔들바위..

 

 

664봉...가짜 정상석..

 

용바위...용을 써야 오를수 있대나..

 

 

허굴산 (墟窟山 681m)

 

대병면사무소에서 가회 방면으로 가다가 양리삼거리 좌측으로 2㎞지점에 있는 바위산이다. 5부 능선 아래로 평지를 이루고 있어 논농사를 경작하고 있으며 7부 능선 위로는 기암절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층암절벽위에 약천수를 마시며 놀았다는 「장군덤」「수리덤」은 절벽사이로 햇빛이 들지 않는 계곡에서 신선들이 놀았다는 곳이며, 임진왜란 당시 청강사의 부처를 숨겼다는 넓이 30m에 달하는 「땅바위」전설이 있는 곳으로 바위 밑에는 100명 정도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원한 공간이 있다. 등산로는 있지만 개발은 되지 않은 상태이다.

허굴산은 일명 허불산이라고도 하며 악견산과 금성산의 남동쪽에 있는 대병 3산중에서 가장 높은 681m이다. 허굴산은 옛날 호랑이들의 주 사냥터이기도 했다. 그 곳에는 아직까지 멧돼지가 많아 농사를 지어 놓으면 다 파헤쳐 버리곤 하여 농사를 지을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허굴산 이름은 산 전체가 속이 비었다 해서 생긴 이름이다. 정상 동남쪽 오지인 응동마을 아래 계곡은 남쪽으로 흘러가면서 5리가 되는 협곡에 막소, 은박소 등 수려한 경치를 이룬다....펌글

 

 

 

청강사..

 

 

청강사..

 

허굴산에서 장단마을 방향에는 청강사라는 절이 있는데 그 절은 부처가 없는 절로 유명하다. 오래 전에 어떤 사람이 이곳의 부처를 훔쳐 가는 도중에 벼락을 맞아 죽었다. 그래서 그 절에서는 그 사람의 혼을 달래기 위해서 부처를 모시지 않는다고 한다.

...펌글.....

 

( 요건 스님도 모르는 이야기라 하고...절에는 분명 부처님이 있다.. )

 

 

 

 

봄비......온전히 젖은 맘...달랠수 있을래나 몰라~...

 

2015-04-04 ????4???.gpx
0.06MB

'산그곳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 능걸산.체바우골만당  (0) 2015.05.07
보성 오봉산  (0) 2015.04.30
마산 무학산.천주산 종주  (0) 2015.03.31
함안 맹미바위봉.오봉산.백이산 종주  (0) 2015.03.16
황령산.금련산 둘레길  (0) 2015.03.10